|
|

<문화과학>,Vol.41, spring,
2005. |

|
특집
: WTO와 휴머니즘
- 신자유주의
시대의 휴머니즘 비판과 다중의 생태주의 문화정치심광현
- WTO,
포스트모더니즘, 휴머니즘의 이데올로기이득재
- WTO
설립 이후의 할리우드와 그 인간주의주은우
|
기획연재
맑스연구
사용가치와
형태규정 (1) 박성수
근대성연구
시간체제와 식민지적 근대성 정근식
문화정책
일본 대중문화 개방의 문화정치 홍성태
공간연구
파주출판도시의 긴장과 딜레마 조명래
세운상가,
한국근대성의 공간적 알레고리 이세영
젠더정치
젠더-권력-이해관계-욕망에 민감한 독법이 일으키는 생산적
위기 박미선
나모그라피에
걸려있는 욕망하는 여'성' 정미옥
시사논단
개성공단·이제훈
/ 환경비상시국·오성규
/참여정부 2년·김정훈
|
<문화과학>,Vol.40, winter,
2004. |

|
특집: 기억과 망각의 정치학
- 동북공정 논쟁 그리고 만주의 기억 한석정
- 한 - 중 -
일 역사교과서의 국가폭력에 대한 기억관리 신주백
- 침략 -
식민지, 일본의 역사인식 전상숙
- 최근 한일관계와 기억의 문제: 역사인식, 과거청산에 연관시켜 윤건차
- 한국인 군위안부 기억의 ‘역사화’를 위하여 태혜숙
- 국가폭력과 기억의 정치―폭압적 근대화를 넘어서 홍성태
- 기억과 정체성 박성수
|
새로운 기억관리 방식: 기억산업의 징후 노명우
일본의 ‘한류’ 바람을 어떻게 볼 것인가 송연옥
‘후일담 현상’에 관하여 이재현
‘내이티브’의 위치와 대역본의 세계
―남방 종족지와 피식민자의 주체성 권명아
‘아파르트헤이트’ 폐지 이후의 남아프리카와
‘국가보안법’ 폐지 이후의 한반도 장시기
성매매 (특별법)에 관한 몇 가지 이야기 전규찬
고교등급제의 실태와 문제점 김정명신
한국적 ‘법학전문대학원’의 도입을 위하여 주경복
근대적 제도로서의 박물관 성찰과 한국박물관 운영의 민주화 강내희
|
<문화과학>,Vol.39, fall.
2004. |

|
특집 : 신자유주의 시대 한국의 공간
- 스펙터클과 시선의 도시공간 주은우공간의 생산과 개발이익, 그리고 사회적 기속성 김용창
- 서울시 공간정책 비판―이명박 시장과 서울 파괴 홍성태
- 새만금 개발사업, 무엇이 문제였나? 정치와 경제의 잘못된 만남 우석훈
- 서울의 도시공간과 시간의 켜 강내희
- 나의 서울생활 유영우
- 불온한 점거를 허하라―꽁치마담의 예술스쾃 만들기 김윤환.김현숙
|
문화도시를 생각하는 몇 가지 에피소드 조성룡
유토피아의 변방―오쇠리, 소멸된 마을에서 강홍구
공간의 역설과 진화―홍대에서 배우기 이동연
식민지근대의 공간형성
―근대 서울의 도시계획과 도시공간의 형
성, 변용, 확장 염복규
노무현정부와 문화 이원재
스크린쿼터와 독립영화 조영각
로지 브라이도티 [유목적 주체] 수인
펠릭스 가타리 [욕망과 혁명] 최진석
|
<문화과학>,Vol.38, summer.2004. |

|
특집: 오늘, 문화란 무엇인가
- ‘문화적 관점’ 강내희
- 문화와 자연의 불이 테제 전규찬
- 문화사회를 위한 문화 개념의 재구성 심광현
- 지역 문화과정과 문화 아카이브 조경만
- 문화산업‘과’ 문화경제학 비판 이득재
- 한국 민주주의 문화론적 이해 홍성민
- 한국 문화연구의 지형 원용진
- 다시! 문화교육운동이다 조동원
|
놀고 있는가, 아니 놀고 싶은가? 완군
백지에 낙서하기 날라리 자퇴생 판
청소년 문화생활 장누리
진보와 여성과 정치는 어떻게 만날 것인가 태혜숙
여성정치, 이미지만 있다 조이여울
여성노동자와 문화, 여성노동자의 문화 김연정
기술철학의 빈곤함: 방송 디지털 전환정책의 문제 김평호
시적 영역과 윤리의 문제가 다다른 막다른 골목―성완경의 신학철, 최민화 읽기와 그 읽기에 대한 이재현의 읽기 정유경
이명박 시장을 고발한다―청계천복원사업은 어디로 가고 있나? 홍성태
대통령 탄핵, 4.15 총선 그리고 한국의 민주주의 최형익
|
<문화과학>,Vol.37,
spring, 2004. |
 |
특집: 위기의 청년
김진균 선생을 기리며 강내희
- 한국의 사회구조와 청년 주체의 위기 최형익
- 1960년대 청년 급진주의에 관한 스케치 안효상
|
- 스물 일곱, 1년 6개월 차 ‘잉여인간’의 넋두리 청년 백수 P
역사, 정체성 그리고 윤리―신학철과 최민화에 대한 읽기의 읽기 이재현
90년대 이후 중국의 문화현실: 다이진화戴錦華 인터뷰
백원담 외
야오군(搖滾)이라고 불렸던 중국의 록음악에 대한 회고
신현준
송두율 문제, 나는 이렇게 본다 유은향
용산 미군기지 이전의 전망과 대응 서재철
세계사회포럼, 새로운 도전이 시작되었다 홍석만
|
<문화과학>,Vol.36, winter 2003. |

|
특집:과학기술의 사회적 쟁점들
- 문화/과학―과학혁명과 문화연구의 변증법적 절합 <문화/과학>편집위원회
- 과학기술과 공공공간―기술 중심주의에 대한 저항의 정치를 위한 각서 히라카와 히데유키(平川秀幸)
- 정보화와 인권, 그리고 헌법한상희
- 자연과학의 혁명과 인간의 개념 박성수
- 지식기반 생산체제의 계급적 성격 이상락
|
“인텔리 위안소”, 혹은 식민지 공론장의 초상 / 이상길
반전,반세계화 운동과 새로운 국제주의 / 원영수
신자유주의와 제3세계 농민운동 그리고 국제연대: 멕시코 사빠띠스따의 사례 / 최형익
칸쿤 5차 WTO 각료회의와 세계 사회운동 / 류미경
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문화적 대안 모색의 필요성 / 최준영
부안, 노란 물결, 문화투쟁 / 고길섶
이민의 추억 / 이동연
위험사회를 넘어 문화사회로: 참여정부 문화비전 중장기 과제와 전망 / 심광현
최근 한국의 문화전쟁 / 정재철
이라크 파병과 ‘국익’ 문제 / 이해영
|
(120-831)
서울 서대문구 연희 1동 421-43, 전화 02-335-0461/ 팩스
3141-0466
문화과학사
SINCE
1991
ⓒ Moonhwagwahak, Seoul Korea
|
|
|